🎯 디지털 마케팅 마스터즈 1기로 활동하면서 2달 동안 패스트캠퍼스의 마케팅 강의를 홍보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짜고 실행에 옮겼습니다. 개인 프로젝트와 팀 프로젝트를 병행했습니다.
🙌 [팀 프로젝트] 주어진 예산 안에서 강의 구매를 늘리기 위해 메타 광고와 구글애즈 광고 캠페인을 기획 및 실행했습니다. 전반적인 기획을 맡았고, 지표를 틈틈이 확인하며 개선 방향을 탐색했고, 팀원들과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힘썼습니다.
💡저희 팀의 목표는 광고를 본 이들이 상세페이지를 클릭하고 살펴보도록 유도하는 것이었습니다. 강의에 대해 자세히 분석한 후 ‘디지털 마케팅 취업 준비생’과 ‘사수없는 1인 스타트업 마케터’ 두 가지 고객 페르소나를 잡아 보았습니다. 각 타겟에게 다른 플랫폼으로 접근했으며 다른 메세지를 설정해 광고 콘텐츠를 만들었습니다. 유료 광고 집행은 구글애즈와 메타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리멤버, 에브리타임, 링커리어, 카카오톡, 네이버 카페 등을 통해서도 홍보를 진행했습니다.
💡 팀의 목표와 상관없이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‘전환’임을 간과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. 지표를 확인해 보니 20대와 달리 30대의 링크 클릭수는 적었지만 전환율이 높았습니다. 프로젝트의 목표에 따라 구매력 있는 대상을 타겟팅하는 것이 적합한 전략이었을 것 같습니다. 또한, 광고 개선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위해서는 A/B 테스트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.
💡 팀장으로서 이탈 없이 팀원들과 끝까지 함께하기 위해 내부조사를 통해 활동의 난이도, 건의사항 등을 물었고 팀 활동에 반영했습니다. 특히 회의 중간 쉬는 시간을 5분에서 10분 정도 도입해서 길어지기도 하는 회의시간에 에너지 분배를 조정할 수 있게 했습니다. 또한, 회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매 회의 전 논의해야 할 부분을 정리한 아웃라인을 미리 공유했어요.


🔗 기획서
🔗 중간점검
🔗 최종 결과 보고
🙌 [개인 프로젝트] 카드뉴스와 광고 이미지, 그리고 영상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했습니다.
🔗 카드뉴스 / 광고 이미지 기획 및 제작 과정 포스팅